월요일, 7월 28, 2008
Protege에서 OWL-S Editor 사용법
금요일, 7월 25, 2008
UCCLight 공개

REMIX 08에서 훈스닷넷에서 진행했던 UCCLight의 소스가 공개되었습니다.
실버라이트, 익스프레션 인코더, ASP.NET Ajax 기술로 구현되었습니다.
DEMO Site: http://ucclight2.dotnetngene.kr/Contents/List.aspx
소스코드 다운로드 및 설명
라벨: .NET, 훈스닷넷, Expression Encoder, REMIX 08, Silverlight, Study, UCCLight
Microsoft Virtualization 360

1. 서버 가상화
Microsoft Windows Server Hyper-V , 차세대 하이퍼바이저(hypervisor)기반 서버 가상화 기술인 Microsoft Windows Server Hyper-V는 여러 서버 역할을 통합하여 단일 물리적 머신상에 개별 가상 머신으로 돌아가도록 하여 조직의 서버 하드웨어 투자비용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Windows, Linux 등 여러 운영체제를 단일 서버에 병렬로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서버 가상화를 채택하는 가장 큰 이유는 서버에 대한 효율성 향상 및 비용 절감이 가장 큰 이유였습니다. 서버 통합, 비즈니스 영속성 관리, 테스트 및 개발 서버 활용이 이에 해당됩니다.
2. 응용프로그램 가상화
Softgrid의 합병 이후, 마이크로소프트는 응용 프로그램 가상화에 관련된 영역을 가지게 되었고, 응용 프로그램 가상화를 통해, 하나의 운영 체제에서 독립적인 버전의 다수 응용 프로그램을 동작시킬 수 있게 됩니다. 조직내 기간망 시스템에서 레가시 버전의 응용 프로그램이 필요한 경우와 업무상 최신 버전의 응용 프로그램을 하나의 머신에서 같이 사용하려고 하는 경우, DLL 파일의 충돌로 인해, 대부분 사용이 불가능하였고(Word 97, Word 2000, Word XP, Word 2007을 같이 사용한다고 생각해보세요), 이를 위해 머신을 따로 두는 것은 TCO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안좋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결국 응용 프로그램 가상화가 이를 해결해줄 수 있는 좋은 방안중에 하나였죠.
3. 데스크탑 가상화

Virtual PC가 이에 해당되는 제품인데, 개인의 데스크톱에서 다른 운영 체제가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Windows Vista를 사용중이신데, 특정 업무나 개인적인 일에 Windows XP나 이하 버전이 필요한 경우, 아니면 Linux가 필요하신 경우 데스크톱에 Virtual PC를 설치하시고, 이안에 또다른 운영 체제를 사용하시는 경우겠죠. 이 케이스는 바로 응용 프로그램의 호환성적인 측면이나 레거시 프로그램을 지원해야 하는 경우, 데스크톱의 가상화를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4. 프리젠테이션 가상화
터미널 서비스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사용자의 경우에는 I/O에 관련된 부분만, 다시 말해, 키보드/마우스 입력과 디스플레이에 대한 처리만 하고, 모든 작업 연산은 서버 사이드에서 동작하는 Server Based Computing (SBC) 환경을 일컫는 가상화 영역입니다. Windows Server 2008에서는 Terminal Service RemoteApp라는 구성 요소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소개해드릴 가상화 영역은 응용 프로그램 가상화의 또 한 영역인 Microsoft Enterprise Desktop Virtualization입니다. 줄여서 MEDV라고 많이 들으실 수 있는 영역이 될 것입니다. KIDARO라는 회사를 인수한 후, 응용 프로그램 가상화의 한 영역으로 2009년에 출시를 앞두고 있습니다. 아래의 그림이 KIDARO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 같은데요. Windows Vista를 사용하시면서 특정 응용 프로그램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아니면 시스템 중 일부가 개발 업체의 사정으로 최신 운영 체제를 지원하지 못하는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데스크톱 가상화 기술인 Virtual PC를 사용할 수 있다라고 위에서 소개해드렸습니다. 물론 좋은 솔루션입니다만, 약간의 부족함이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사용자의 경우, 해당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해서, 별도의 운영 체제를 가상화 환경에서 동작시켜야하고, 되풀이되는 로그온 프로세스와 프로그램 실행이 필요합니다.

만약, Windows Vista에서 Windows XP에서만 동작하던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배치해놓고, 이를 실행하려 했을 때, 백그라운드에서 Windows XP의 가상화 이미지가 전송되고, 이를 동작시킨 후, 해당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해당 응용 프로그램만 사용자에게 뿌려준다면... 어찌보면 Windows Server 2008 RemoteApp적인 요소까지 가지고 있는 거라 볼 수도 있습니다. 위의 그림에서 워드 패드와 계산기의 경우에는 Windows Vista에서 동작한 것이지만, Outlook 2003, Word 2003의 경우에는 사용자 데스크톱의 백그라운드에서 동작중인 Virtual PC내 Windows XP 환경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한 걸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Kidaro의 경우에는, 중앙에 가상 이미지 저장 서버, 관리 서버를 배치한 후, 액티브 디렉터리와 연계되어져, 사용자별로 적절한 정책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정책내에는 프로그램과 이미지와의 맵핑은 물론이며, 특정 이미지, 프로그램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데이터를 로컬에 저장할 수 없게, 다시 말해, 가상 이미지내에만 저장할 수 있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죠. 많은 조직에서 중요한 프로그램의 산출물에 대해서는 외부 유출을 막을 수 있는 또하나의 솔루션이 되게 됩니다.
가상화 프로젝트의 성공은 관리 기술에 달려있다고 보셔도 무방할 정도로, 관리 기술은 중요합니다. 서버 가상화의 중앙 관리를 위해 마이크로소프트는 System Center Virtual Machine Manager(SCVMM) 2007을 출시하였고, Hyper-V에 대한 지원 및 향상된 기능 제공을 위해 SCVMM 2008을 개발중에 있습니다. SCVMM 2008은 조직내 Hyper-V와 VMWare ESX가 공존할 경우, 하나의 관리 소프트웨어에서 여러 환경을 관리할 수 있도록, VMWare ESX도 지원하고 있고, SCVMM 2008에서 VMWare의 vMotion까지 처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물리/가상 환경에 무관하게 인프라의 모니터링 및 문제 관리를 할 수 있도록 System Center Operation Manager 2007을 활용하고 있으며, SCVMM 2008과 SCOM 2007의 연동을 통해 Performance and Resource Optimization(PRO) 기능도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Dynamic IT를 위한 빠르고, 정확하며, 자동화된 인프라 관리를 할 수 있게 돕고 있습니다.
참조 블로그 : http://blogs.technet.com/koalra
라벨: 가상화, Microsoft Virtualization 360, MSP, Project P, Visualization
목요일, 7월 24, 2008
MSRDS 2008 시뮬레이션
Microsoft Robotics Developer Studio 2008 CTP July
주요 특징으로는
1. 다양한 새로운 샘플과 튜토리얼 제공
.png)
2. 64비트 시스템에서 시뮬레이션 지원
시뮬레이션이 64비트 시스템에서 Windows-32-on-Windows-64 (WOW64)를 사용하여 가능합니다.
3. Visual Studio Project Wizards 제공
.png)
3. 더욱 빨라진 DSS Proxy Generation
서비스 프록시 어셈블리 생성이 쉽고 빨라졌고 .NET Compact Framework를 위한 개발이 쉬워졌습니다.
4. DSS 로그 분석기
새로운 디버깅과 모니터링이 가능한 비주얼 툴을 제공합니다.
.jpg)
4. Embedded Visual Simulation Environment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 독립적으로 VSE 실행이 가능합니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볼 수 있습니다.
http://msdn.microsoft.com/ko-kr/robotics/cc470040(en-us).aspx
MSRDS 2008 CTP July 다운로드
http://www.microsoft.com/downloads/details.aspx?FamilyId=57CE326B-2125-4163-A33F-ED2F69E03B56&displaylang=en
라벨: CTP, MSRDS 2008, MSRS, Robotics Studio, Study
수요일, 7월 16, 2008
삼성 소프트웨어 멤버십 합격
기술면접 후부터 오늘 발표되는 순간까지 조마조마해서 아무것도 손에 안잡히고 ㄷㄷㄷ 했는데
다행히 합격했네요. 열심히 하겠습니다.
이번에 합격하신 분들 OT에서 뵙겠습니다~^^
라벨: 삼성소프트웨어멤버십, SECMEM, SSM
일요일, 7월 13, 2008
ImagineCup.com 홈페이지 테마






이매진컵 홈페이지의 테마
접속 할때마다 랜덤으로 바뀐다.
이매진컵 2009 홈페이지 테마 투표 하는 사이트를 어디선가 본거같은데 그 중 하나만 사용하지 않고
후보에 있던 테마들 모두 사용 된 것 같다.
이전보다 디자인이 훨씬 좋아져서 홈페이지 들어갈때마다 즐겁다 @_@
라벨: 이매진컵, 테마, 홈페이지, Imagine Cup, MSP
수요일, 7월 09, 2008
Imagine Cup 2009 - 소프트웨어 디자인
Required Elements
- Your entry must address a social cause connected to the Imagine Cup 2009 Theme: "Imagine a world where technology helps solve the toughest problems facing us today".
- Any presentation or documentation that is a part of your entry must be in the English language. If a translator is needed, you will have the opportunity to provide one.
- Implementation or consumption of a XML Web Service;
- .NET Framework 2.0 or later;
- Visual Studio family (Express, Standard, Professional, or Team System) for development
Optional Elements
- Implement or use a PopFly Block
- Interoperability techniques
- Windows Live SDK
- Use of Windows Mobile technologies
- .NET Compact Framework
- ASP .NET
- SQL Server
- Microsoft Parallel Extensions to .NET Framework 3.5, June 2008 Community Technology Preview (Task Parallel Library and Parallel Patterns Library)
- Parallel Language Integrated Query PLINQ
- Use of a Mobile device
- SMS Server Toolkit
- Windows MultiPoint SDK
- Imagine Cup sponsor resources
처음엔 모바일이 필수 요소였는데 다시 옵션으로 바뀌었습니다. 참고하세요~
라벨: 소프트웨어 디자인, Imagine Cup 2009, MSP
Imagine Cup 2009 주제

Imagine a world where technology helps solve the toughest problems facing us today.
기술이 우리 시대 난제를 해결하는 세상을 상상하라.
The 2009 Theme: Solve the World's Toughest Problems
In 2009, the Imagine Cup challenges the world's most talented students to "Imagine a world where technology helps solve the toughest problems facing us today." Some might use technology to help a brother or sister get an education. Or find entirely new approaches for medicine. Or discover ways to counter the inequalities that exist between genders around the world. These students might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our planet or help deliver universal primary education. Yeah, it's that important.
The United Nations has identified some of the hardest challenges in the world today in its Millennium Goals. This year the Imagine Cup uses these ambitious challenges as a guiding light to inspire change all over the world. Learn more about the eight Millennium Goals.
Competition Categories

Students are asked to create real world software and services applicationsthat use Microsoft tools and technology. It's not just about the PC - students must think of ways to take advantage of mobile devices as well. Students need to think big. The judging requires students to use their creativity and drive if they want to compete on the world stage. This is where legends are born and lives are changed - where an application starts off as an idea and ends up being used all over the world.
Visit the Software Design competition page to learn more.

As devices become smaller and more portable they are having a greater impact on our everyday lives. Desktop computing has made way for the handheld revolution, and it's happening fast. This competition challenges students to build a complete hardware and software solution using Windows CE and a library of different hardware devices. They have to assemble a working prototype that tackles a tough social challenge. It's the ultimate challenge to take solutions to the streets.

Video games are a fun part of everyday life but also represent a powerful way to create change. This competition isa supreme test of students' creative and technical skills as they make games that are not only entertaining but take on social change. Using XNA Game Studio, students from around the world will have an opportunity to gain international exposure for their games and might even win the chance to become an apprentice at Microsoft's Interactive Entertainment Business.

Robots need more than gears and wires - they require highly sophisticated algorithms to interpret and interact with the world around them. This competition is a mathematical obstacle course where students must navigate a series of brain teasers, code challenges and algorithmic puzzles to demonstrate their ability to understand the potential of robots in our world. This exciting event takes place in a virtual world as students progress through increasingly difficult rounds.
Students are challenged to develop, deploy, and maintain IT systems that are elegant, functional, robust and secure. This demanding competition requires students to demonstrate their knowledge and skills in the science of networks, databases, and servers. They also need to show their analytical abilities and make tough decisions in IT environments.

New ideas come from looking at the world in different ways.This competition challenges students to mash together elements - music, data, visuals, servicesand anything else they can think of - and rearrange them into something that dramatically changes how people look at a tough issue. By making unexpected connections, students can make the world stand up and take notice.

Great photographers know a single image can change the world. In this competition, students communicate a story that explores a critical issue through a photo essay of inspiring still images.The photos must grab the audience and illustrate the students' personal insight into these global issues.

Filmmaking is both a technical craft and storytelling art.In this competition, students must use all their skills to create a moving, meaningful short film. From concept and storyboard to shooting digital footage and editing, students must find their unique voice and capture the audience's imagination.
라벨: 이매진컵, 이매진컵 2009, 이집트, 주제, Imagine Cup, Imagine Cup 2009, MSP, Theme
일요일, 7월 06, 2008
Microsoft Robotics - DSSP
Microsoft Robotics에 사용되는 SOAP기반의 프로토콜
A set of state-oriented message operations for retrieving, manipulating, and subscribing to structured state changes in a service.
첨부파일은 DSSP 스펙 문서와 XSD 스키마
라벨: DSSP, Microsoft Robotics, Robotics Studio, Study
Microsoft Robotics 관련 링크
Microsoft Robotics Developer Center
http://msdn.microsoft.com/ko-kr/robotics/default(en-us).aspx
MSDN Library - Microsoft Robotics Studio
http://msdn.microsoft.com/en-us/library/bb881626.aspx
Microsoft Robotics Blog
http://blogs.msdn.com/MSRoboticsStudio/
MSDN Forums - Microsoft Robotics
http://forums.microsoft.com/MSDN/default.aspx?ForumGroupID=383&SiteID=1
Apps Community for MS Robotics Developer Studio
http://www.helloapps.net/
MSRDS 사용자를 위한 국제 로봇 챔스 리그
http://www.robochamps.com/
MSRDS 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msrskorea.cafe
라벨: 링크, Microsoft Robotics, Robotics Studio, Study
Microsoft Robotics Developer Studio 개요
Microsoft® Robotics Developer Studio (RDS)는 윈도우 기반 환경에서 취미 개발, 학생 그리고 전문 개발자에게 다양한 하드웨어 플랫폼에서 작동하는 로봇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제공한다. RDS는 경량의 REST 스타일, 서비스 지향 런타임, a set of visual authoring, 시뮬레이션 도구와 튜토리얼과 샘플 코드를 포함한다.
End-to-End Development Platform
Microsoft Robotics Developer Studio는 다양한 로봇 하드웨어에 서비스 개발을 지원한다.
비개발자들도 Visual Programming 환경을 사용하여 개발 할 수 있다.
Visual Programming Language는 누구나 로보틱스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디버그 할 수 있는 쉬운 환경을 제공한다. 단지 블록을 드래그 앤 드롭 해서 서비스를 구성하고 그것들을 연결하면 된다. 하나의 블록처럼 연결된 블록 모음을 만들거나 프로그램 어디서든지 그것을 재사용 할 수 있다.

3D 물리 기반 가상 환경에서 로보틱스 어플리케이션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사실적인 3D 시뮬레이션 모델을 사용해 로보틱스 어플리케이션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Microsoft Visual Simulation Environment는 AGEIA Technologies사의 AGEIA™ PhysX™ 기술을 포함해서 실세계의 물리적 시뮬레이션을 로봇 모델에 적용 할 수 있다. PhysX 시뮬레이션은 AGEIA 하드웨어를 사용해 하드웨어 가속을 할 수 있다.


윈도우 또는 웹 기반 인터페이스와 로봇의 상호 작용
개발한 어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모니터링하거나 로봇을 원격 제어 하는것을 가능하게 한다. HTML 폼과 JavaScript같은 웹 기술을 사용하여 명령을 보내고 원격지에 다양한 카메라들로 로봇을 볼 수 있다.
경량의 REST 스타일과 서비스 지향 런타임
Microsoft Robotics Developer Studio는 .NET 기반의 REST 스타일, 서비스 지향 런타임과 두가지 구성 요소(Concurrency and Coordination Runtime (CCR) and Decentralized Software Services (DSS)를 포함한다.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간단히 할 수 있다.
Concurrency and Coordination Runtime (CCR)은 다수의 로보틱스 센서의 정보와 모터와 작동기의 실행같은 비동기 제어를 쉽게 한다.
로보틱스 센서와 모터와 작동기의 반응의 실시간 모니터링
Decentralized Software Services (DSS) 어플리케이션 모델은 로봇의 상태 반응과 웹 브라우저와 윈도우 기반 어플리케이션 사용을 간단히 할 수 있다.

조립 가능한 모델을 사용하여 모듈 서비스 재사용
간단한 컴포넌트, 신뢰성과 대체성, 재사용성을 가진 코드 모듈을 사용하여 고수준(high-level)의 함수를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수준(lower-level) 센서 서비스는 네비게이션 서비스에 통합 될 수 있다.
확장 가능한 플랫폼
RDS 프로그래밍 모델은 다양한 로봇 하드웨어 플랫폼을 지원한다.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는 8비트, 16비트, 32비트 프로세서(싱글 코어 또는 멀티 코어)를 사용하는 로봇의 어플리케이션 개발이 가능하다.
쉽게 확장 가능한 Microsoft Robotics Developer Studio의 기능성
원격 연결(PC 기반)과 로봇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시나리오 지원
원격 연결 시나리오는 시리얼 포트, 블루투스®, 802.11, RF를 통하여 PC와 로봇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Microsoft Windows에서 실행되는 PC 기반 로봇의 자율적인 운영을 실행한다.다양한 언어를 사용하여 개발 가능
RDS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선택하여 로보틱스 어플리케이션을 개발 할 수 있다. Microsoft Visual Studio®와 Microsoft Visual Studio Express (C# and VB.NET)를 포함하여 Iron Python같은 스크립트 언어를 사용 할 수 있다. RDS 서비스 기반 아키텍쳐를 지원하는 서드 파티 언어도 역시 지원 가능하다.라벨: 개요, MSP, RDS, Robotics Studio
Microsoft Robotics - Invalid uri 해결 방법

Invalid uri in manifest 해결 방법
해당 manifest 파일이 Robotics Studio가 설치된 폴더 아래 위치 해야 함.
라벨: Invalid uri in manifest, MSRDS, MSRS, Robotics Studio, Study
금요일, 7월 04, 2008
Microsoft 빌 게이츠 스토리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회장이 경영일선에서 물러나, 제3세계의 질병과 빈곤 퇴치 등 사회공헌에 전념할 계획을 밝혔습니다. 누구나 쉽게 컴퓨터를 쓸 수 있게 만들겠다는 일념으로 시작된 마이크로소프트의 역사와 함께, 그의 스토리를 들어보시기 바랍니다.
라벨: 빌게이츠, 은퇴, 인터뷰, Microsoft, MSP
수요일, 7월 02, 2008
Robotics Studio 시뮬레이션 x64 OS에서 실행하기
시뮬레이션을 해보려고 실행을 하면 아래와 같은 에러메시지가 계속 났다.
에러 메시지 보기..
MSRDS 카페와 MSDN 포럼을 한참 뒤졌는데 문제를 해결 할 수 없었다.설치도 몇 번 다시 해보고 XNA Framework도 따로 여러번 설치해봤는데 해결 되지 않았다.
거의 포기를 하다가 MSDN 포럼을 다시 찾아봤는데 64비트 관련 질문을 발견...
http://forums.microsoft.com/Forums/ShowPost.aspx?siteid=1&PostID=3266130
여기에 보면 64비트에서 시뮬레이션이 작동하지 않는다고 되어있다.
나와 같은 문제!!!
답변이 있기를 기대하며 쭈욱 읽어봤는데 역시... 있었다.
XNA는 WOW64모드로 실행되는데 MSRS는 Full 64-bit 모드에서 실행된다.
그래서 64-bit DSSHost 환경이 XNA를 로드 할 때 실패한다고 한다.
cipher란 사람이 문제를 해결 한 실행파일을 코드플렉스에 올려놓았다.
http://www.codeplex.com/DSSLoader
원리는 간단하다. DSSLoader.exe를 실행하면 문제를 해결해서 dsshost를 대체 실행하게 된다.
소스코드도 공개되어 있으므로 자세한건 코드를 직접 보면 된다.
시뮬레이션 실행 예제 중 Basic Simulation Environment 실행 속성은 아래와 같다.
"C:\Microsoft Robotics Dev Studio 2008\bin\DssHost.exe" /p:50000 /t:50001 /m:"samples\config\SimulationTutorial1.manifest.xml"
DSSLoader.exe를 DssHost.exe가 위치한 폴더에 넣고 위 실행 명령에서 DssHost를 DSSLoader로 바꿔주면 된다.
"C:\Microsoft Robotics Dev Studio 2008\bin\DSSLoader.exe" /p:50000 /t:50001 /m:"samples\config\SimulationTutorial1.manifest.xml"
다른 시뮬레이션도 똑같이 파일명만 바꿔주면 된다.
Multiple Simulated Robots 시뮬레이션 모습


레고 NXT의 귀여운 모습 :)
라벨: 레고 NTX, 로보틱스 스튜디오, 시뮬레이션, MSP, MSR, MSRS, Robotics Studio, Study
Imagine Cup 2008 프랑스 세계대회

이매진컵 역사상 가장많은 대한민국 학생들이 출전하는 이매진컵 2008 한국대표가 드디어 내일 파리로 떠납니다.
1기 MSP 출신의 김홍익 인턴이 학생 블로거로서 함께 동행하여 1주일간에 걸친 이매진컵의 생생한 현장을
전달한다고 합니다.
http://blog.naver.com/sttora2에서 이매진컵의 생생한 소식을 확인하면 되겠습니다.
블로그에 응원메시지를 남기면 선물도 있어요 @_@
이매진컵 참가팀 리스트 (팀소개 사이트)

기타 참가자 리스트
기관 |
이름 |
직책 |
역할 |
고려대학교 |
차성덕 |
교수 |
소프트웨어 설계 부문 심사위원 |
삼성전자 |
김형준 |
연구원 |
Tree Talk 팀 멘토 |
마이크로소프트 |
안자현 |
차장 |
홍보 |
마이크로소프트 |
박범주 |
부장 |
Education Leaders Forum 담당 |
교육과학기술부 관계자 2명 |
Education Leaders Forum 참석 | ||
MSP |
김홍익 |
학생 |
학생 블로거 |
마이크로소프트 |
조성우 |
차장 |
이매진컵 총괄 |
그 외 SBS, MBC, 한국일보,서울신문, 중앙일보, 전자신문 등 기자단 |
이매진컵 일정
날짜 |
일정 |
7월 3일 (목) |
파리 도착 / 개회식 |
7월 4일 (금) |
부문별 경진 시작 |
7월 5일 (토) |
부문별 경진 마감 / 작품전시 쇼케이스 |
7월 6일 (일) |
최종 결승 진출팀 발표 / City Of Paris Cultural Day 파리시내 투어 |
7월 7일 (월) |
ELF / 소프트웨어설계, 임베디드개발, 게임개발부문 최종결승전 / 단편영화부문 Digital Theater |
7월 8일 (화) |
ELF / UNESCO 쇼케이스 / World Festival 시상식 / Farewell Party |
7월 9일 (수) |
파리 출발 |
라벨: 대한민국, 이매진컵, 파리, 프랑스, Imagine Cup, MSP
에 가입 글 [Atom]